오늘은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사자성어(고사성어)에 대해서 21가지 알아봅니다. 물론, 많은 사자성어가 있고 각 개인마다 자주 쓰는 것들이 있지만 그래도 보통 많이 쓰이는 사자성어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이러한 사자성어들을 많이 쓰면 좀 유식해 보이기도 합니다. 안 그런가요?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자성어는 네 글자가 아닌 고사성어(사자성어)도 흔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헷갈림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고사성어의 '사'가 '일 事'를 쓰지만 '숫자 四'로 많이들 착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이유 중 하나입니다.
고사성어(사자성어)란?
사자성어는 중국의 전통적인 문화 유산 중 하나로, 간결하면서도 깊은 의미를 내포한 문구나 구문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자성어는 역사적, 문학적, 철학적 배경을 반영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중국어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일본어 등 동양 국가의 언어와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사자성어는 인간의 지혜와 경험을 담은 짧고 간결한 구문으로, 한 마디로 전체적인 의미나 상황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자성어는 오늘날에도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중국어 학습자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에게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고사성어(故事成語)는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한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전근대의 중국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가리킨다. 단어 길이는 네 글자가 가장 많지만 짧으면 두 자부터 길면 열두 자나 된다. 속담과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그 형태는 다른데, 고사성어는 관용단어인 반면 속담은 관용문구다. 물론 고사성어가 한문에서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나, 한국어 안에서는 엄연히 하나의 고사성어 전체가 한 단어처럼 쓰이고 있다.
<혹시 사자성어인줄 알고 쓰는 것들이 있는데 고사성어처럼 줄임말로 만들어진 유행어들 이니까 잘 구분해야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복지부동, 신토불이, 마지노선, 내로남불 등은 사자성어가 아닙니다>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사자성어(고사성어) 21가지
1. 금상첨화(錦上添花)
비단(緋緞)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2. 와신상담(臥薪嘗膽)
불편(不便)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怨讐)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3.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농사(農事)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與件)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工夫)함을 이르는 말
4. 감언이설(甘言利說)
귀가 솔깃하도록 남의 비위(脾胃)를 맞추거나 이(利) 로운 조건(條件)을 내세워 꾀는 말
5. 고진감래(苦盡甘來)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苦生) 끝에 즐거움이 옮을 이르는 말
6. 역지사지(易地思之)
처지(處地)를 바꾸어서 생각하여 봄으로써 즉, 서로의 입장에서 생각을 해본다
7. 주객전도(主客顚倒)
주인(主人)과 손의 위치(位置)가 서로 뒤바뀐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의 경중(輕重)ㆍ선후(先後)ㆍ완급(緩急) 따위가 서로 뒤바뀜을 이르는 말. 즉, 상황이 서로 뒤바뀌어서 다른 한쪽이 우위에 선다라는 뜻
8. 호사다마(好事多魔)
좋은 일에는 흔히 방해(妨害)되는 일이 많음. 또는 그런 일이 많이 생김
9. 오매불망(寤寐不忘)
자나 깨나 잊지 못함
10. 낙화유수(落花流水)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2. 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표리부동(表裏不同)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言行)과 속으로 가지는 생각이 다름
12. 일장춘몽(一場春夢)
한바탕의 봄꿈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榮華)나 덧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견물생심(見物生心)
물건(物件)을 보면 욕심(慾心)이 생긴다는 뜻
14. 청출어람(靑出於藍)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경국지색(傾國之色)
임금이 혹(惑)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정도의 미인(美人)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美人)을 이르는 말
16. 군계일학(群鷄一鶴)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鶴)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人物)을 이르는 말
17. 초지일관(初志一貫)
처음에 세운 뜻을 이루려고 끝까지 밀고 나감
18. 절체절명(絕體絕命)
몸도 목숨도 다 되었다는 뜻으로, 어찌할 수 없는 절박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9. 점입가경(漸入佳境)
1. 들어갈수록 점점 재미가 있음.
2. 시간이 지날수록 하는 짓이나 몰골이 더욱 꼴불견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0. 자승자박(自繩自縛)
자기(自己)의 줄로 자기(自己)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自己)가 한 말과 행동(行動)에 자기(自己) 자신(自身)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명불허전(名不虛傳)
명성(名聲)이나 명예(名譽)가 헛되이 퍼진 것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이름이 날 만한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
마무리
사자성어는 우리 사회에서 많이 쓰이는 것으로 오늘은 생활하면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아보았습니다. 다들 학교 다닐 때도 수업시간에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 밖에도 많은 고사성어(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일단, 오늘 알려드린 21가지는 거의 알고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많이 들어봤지만 제대로 된 뜻을 모를 수도 있다 생각해서 이렇게 글 작성해 보았습니다. 그럼 오늘 이후부터 이러한 사자성어에 관심이 생겼다면 더 많은 것들을 찾아서 알고 있으면 정말 멋져 보일 것 같네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위성의 역할과 궤도, 속도, 개수 그리고 미래 (0) | 2024.03.18 |
---|---|
생고구마효능, 삶은 고구마 효능 그리고 차이점 (0) | 2024.03.18 |
과일 꿈 해몽 - 다양한 과일에 대한 의미와 꿈의 해석 (0) | 2024.03.17 |
봄철 일본 벚꽃 축제 열리는 시기와 명소(도시) 알아봐요 (0) | 2024.03.15 |
미세 플라스틱 - 환경 오염,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증상 (0) | 2024.03.15 |
댓글